114소호사무실
가업을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데 "상속세 때문에 회사를 팔아야 한다"는 말 들어보셨죠?
실제로 잘 운영해온 회사를 자녀에게 넘기려다 상속세 폭탄을 맞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가업승계 세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가업을 물려줄 때 받을 수 있는 세금 감면 제도와 실무상 주의사항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복잡한 세법 용어는 빼고, 실질적인 절세 방법을 담았습니다.
① 가업상속공제 (상속세 감면)
② 증여세 과세특례 (증여세 감면)
이 제도를 잘 활용하면, 수십~수백억 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건 언제 사용하나요?
공제 한도는?
가업 운영 기간 | 공제 한도 |
10년 이상 | 300억 원 |
20년 이상 | 400억 원 |
30년 이상 | 600억 원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추가 요건
이건 언제 사용하나요?
어떻게 줄어드나요?
조건은?
조건이 꽤 까다롭습니다.
항목 | 조건 |
회사 업종 |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 주력 산업 (일부 업종 제외) |
매출 기준 |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2025년 기준 매출 3천억 원 이하) |
부모 요건 | 10년 이상 경영, 40% 지분 이상 보유 (상장사는 20%) |
자녀 요건 | 18세 이상, 2년 이상 근무 후 대표 취임 (상속 2년 전, 증여 3년 후) |
사후 의무 | 5년간 고용, 자산, 지분 등 유지 필수 |
1) 사후관리 요건 미이행
2) 자녀가 대표가 되지 않은 경우
3) 가업이 아닌 자산이 많을 경우
4) 업종 제한
5) 지분 집중 미흡 시 감면 불가
6) 공제 중복 제한
7) 10년 내 증여와 상속 합산 과세
8) 일감 몰아주기 세제와 연동 가능성
9) 금융기관 신용 영향 가능성
가업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일은 단순한 유산 이전이 아닙니다. 회사를 살리고, 가족의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결정입니다.
복잡한 세금 문제로 회사를 포기하지 않도록, 가업상속공제와 증여세 과세특례를 적극 활용해보세요.
1) 외근 등으로 사무실 출근 빈도가 낮은 경우
2) 사무실 임대 및 사용 전반에 들어가는 비용이 부담인 경우
3) 재택근무가 가능하지만 사업자등록증 상 내 주소가 알려지는 것이 꺼려지는 경우
4) 세금, 고지서 등 사업과 관련된 우편물 관리가 필요한 경우
5) 기업 이미지 강화를 위해 주요지역 및 산업단지 주소가 필요한 경우
6) 다른 지역에 지점 또는 지사를 설립하려는 경우
비상주사무실 운영 자체는 원칙적으로 합법입니다.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 Serviced Office 란 이름으로 창업 초기 또는 프리랜서 또는 지점 설립 등의 용도로
활발하게 이용되며, 원격 근무 또는 재택근무의 수요 증가로 많은 창업 초기 업체들이
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을 위해 이용 중에 있습니다.
국가법령집 부가가치세법 제 8조에 의해 "사업자등록을 신청하는 것이란 사업자가 사업을 하기 위하여 거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는 고정된 장소를 말하는 것이며,
다만 고정된 사업장이 없는 경우에는 사업자의 주소 또는 거소를 사업장으로 하는 것입니다" 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 강남 학동점 : 서울시 강남구 학동로 165, 마일스디오빌 2층
* 구로 1 2 3호점 :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31길 41, ENC벤처드림타워 6차
* 영등포점 : 서울 영등포구 양산로 53, 월드메르디앙비즈센터 10층
* 가산 IT캐슬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아이티캐슬2차 19층
* 가산 포휴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5, 에이스가산포휴 11층
* 안산점 : 경기 안산시 단원구 광덕대로 154, 로데오타운 A동 4층
* 인천 스마트밸리점 : 인천 연수구 송도 미래로 30, 스마트밸리 지식산업센터 D동
* 인천 애니오션점 : 인천 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99, 10층
* 김포점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로 495, 6층
* 용인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로60번길 9, 7층